천안취재본부 김민성 기자

[대전투데이 천안 = 김민성 기자]최근 경기도청에서 이재명 지사가 전 직원들에게 명찰을 패용하라는 것을 두고 설왕설래가 있었다.

직원들은 처음에는 공무원증을 잘 패용하라는 뜻으로 이해했지만 내막은 공무원증과 별도로 명찰을 제작해 패용하라는 의미였다. 실제 이재명 지사는 성남시장으로 재직할 당시 성남시청 공무원들에게 명찰을 패용하라고 지시 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도청직원들은 크게 반발하였다. 이유는 네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과잉충성으로 판단된다. 둘째 경기도청은 대민업무보다 정책업무가 많기 때문에 굳이 필요가 없다. 셋째 불필요한 예산 낭비이다. 넷째 가슴에 패용하는 형태라 핀에 의한 옷감 손상이라는 이유였다. 네티즌들 역시 반반으로 나뉘었다.

사실 중요한 것은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는 것 이지만, 정말 도청이 대민업무가 적을까? 그렇지 않다. 도청이라는 곳은 보통 구청이나 군청, 시청에서 처리가 안 되거나 정말 절박한 심정으로 방문하는 “최후의 보루” 이미지가 다소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흔히들 공무원의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면피”라는 말이 존재 하듯이 명찰은 그러한 책임의 소재를 다소 명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민원인 입장에서 나의 업무를 처리해주는 공무원들에게 기대와 걱정을 동시에 갖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민원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의 소속과 이름을 명확하게 알고 싶어 하는 민원인이 적지 않다. 그래서 명찰이라는 것은 단순히 소속과 이름을 알리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책임”이라는 소재를 제법 명확하게 해주는 기능이 있다.

언제부터 공무원이 증가하고 도청에 직원들이 늘어나면서, 거대해지는 조직 속에 조금만 사무실을 벗어나서 걷다 보면 동료를 모르거나 얼굴만 어디서 많이 본, 그러한 삭막함이 맴도는 공간은 공무원들도 원치 않아 할 것이다. 적어도 동료의 이름을 묻지 않아도 이름을 알게 되는, 어색함이 감소하는 도청을 만들어 보는 것은 어떨까?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