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하영 대전지방보훈청 제대군인지원센터 취업팀장

제대군인이란 말은 자주 듣는 말이긴 하지만, 왜 제대군인을 지원해야하는지에 대해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이 분들의 전직지원을 돕고 있는 입장에서 이들에게선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이들은 ‘군에서 복무했던 것을 보람 있는 생애’라고 여기어, 국가에 대한 충성심이 자연스럽게 우러러 나오는 직업군인들이다. 생활보장을 위해, 보수는 지급되지만 이들은 벽지, 오지에서의 근무하며 빈번한 이동으로 자녀 교육, 내 집 마련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유사시에는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쳐야 하는 막중한 책임감도 짊어진다.

이러한 직업군인은 특수한 군 계급구조 때문에 중도 전역을 해야 한다. 일반 공무원에 비해 평균 12년 정도 조기 퇴직을 하게 되며 생애 최대 지출시기인 40~50대에 실직이 가장 많다는 특징이 있다. 실제로 해마다 6000여 명의 직업군인이 군을 떠나 일반 사회인의 삶을 살아간다.

그런데 제대군인들의 사회복귀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반인들의 전직은 같은 분야에서 직업을 바꾸거나 똑같은 직업을 유지하면서 분야를 바꾸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직업군인의 경우 직업과 분야를 모두 바꿔야 한다. 더불어 군 조직에서 사회라는 이질적인 조직에 적용해야 하는 불리한 조건도 안고 있다.

무엇보다 제대군인들의 사회 복귀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사회 전반에 만연해 있는 부정적 시각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등 군 복무의 특수성을 도외시한 채 군인을 특권층으로 보려는 경향이 있고, 투철한 국가관 등 군에서 연마한 역량을 과소평가하려 한다.

현재 국가보훈처에서는 직업군인들이 전역한 이후 제2의 인생을 설계할 수 있도록 제대군인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취업, 창업, 직업훈련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 일각에서는 이러한 지원제도조차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본다. ‘자신이 선택한 직업인데 왜 도와주어야 하나’ ‘청년실업, 노인문제 등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는 연금까지 받는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이 뭐 그리 시급 한가’라고 되묻는다. 젊음을 바쳐 국가의 안보를 위해 애쓴 제대군인들을 우리 사회가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단지 제대군인들이 오랜 시간 군에서 보냈다는 사실만으로 보상차원의 지원 당위성을 정당화하자는 건 아니다. 제대군인은 월등한 역량을 지니고 있는 국가 인적 지원이다. 실제로 얼마 전 한국 고용정보원이 기업체 인사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제대군인을 채용한 이유에 대해 군 생활을 통해 습득한 리더십 등의 능력 외에도 실무와 곧바로 연결되는 전문성을 꼽았다.

그리고 직업군인들이 전역 이후를 걱정하지 않고, 군 생활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여 국가 안보의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 이들의 노력이 없다면 과연 우리는 지금처럼 편안하고 안락한 삶을 유지할 수 있을까? 군 안보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제대군인을 향한 전 국민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확산되기를 희망한다.

군이라는 폐쇄된 곳에서 생활한 제대군인들에게 성공적인 복귀는 험난하고 외로운 길이다. 이들이 사회로 자연스럽게 복귀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따스한 시선으로 그들을 바라봐 주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