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의덕 대전지방보훈청 보상과 주무관

다가오는 3월 26일은 안중근 의사가 뤼순감옥의 형장에서 순국하신 지 112주년이 되는 날이다. 안중근(安重根) 의사는 1879년 9월 2일 황해도 해주부 광석동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순흥이고, 아명은 응칠(應七)이며, 천주교 세례명은 토마스(도마)이다. 1909년 만주 하얼빈에서 침략의 원흉을 단죄해 우리 민족의 독립의지를 세계만방에 알린 안중근 의사는 1909년 11월 러시아 헌병대에서 여순(旅順)에 있는 일본 감옥으로 이송되어 심문과 재판을 받는 가운데에서도 일본의 부당한 침략 행위를 공박하며 시정을 요구하였고, 조국의 완전 독립과 동양평화의 정착을 주장하였다. 1910년 2월 14일 사형을 선고받은 후, 3월 26일 순국하였다.

1910년 3월 26일 순국 당일 뤼순에는 부슬비가 내리고 있었다. 어머니가 보내준 흰색 명주 한복을 입은 안중근 의사는 남기고 싶은 유언이 있느냐는 형무소장의 물음에 “아무 것도 남길 말은 없으나, 다만 내가 한 이토 사살은 동양평화를 위해 한 것이므로, 한일 양국이 협력하여 동양평화가 이루어지기를 바랄 뿐이다”라는 당부를 하였다. 이어 ‘동양평화 만세’삼창을 하려 하니 특별히 허락해달라는 요청이 거부되자 약 2분간 기도를 올리고 의연하게 교수대로 올라갔다. 이처럼 안중근 의사는 눈 앞에 죽음이 닥쳐와도 초연함을 잃지 않고 오직 한국의 독립과 동포의 안녕을 걱정했던 애국지사이자 동양평화를 염원했던 위대한 평화사상가였다.

안중근 의사가 순국한 후 일제는 정근, 공근 두 동생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의사의 유해를 인도하지 않았다. 안중근 의사의 묘소가 한국 독립운동의 성지가 될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안중근 의사의 유해는 비밀리에 뤼순감옥 공동묘지에 묻혔고 아직까지 그 정확한 위치를 모른 채 고국으로 모시지 못하고 있다. 국내에는 안중근 의사의 가묘가 효창공원에 마련되어 있으며 정부에서는 안중근 의사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안중근 의사는 뤼순 감옥에서 재판을 받을 당시, 법정에 모인 사람들에게 재판받는 내내 당당하게 이와 같이 말하였다. "내가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것은 한국 독립전쟁의 한 부분이요, 또 내가 일본 법정에 서게 된 것은 전쟁에 패배하여 포로가 된 때문이다. 나는 개인 자격으로 이 일을 행한 것이 아니요, 대한국 의군 참모 중장의 자격으로 적장 이토 히로부미를 살해 한 것이요, 조국의 독립과 동양 평화를 위해서 행한 것이니 만국 공법에 의하여 처리하도록 하라.

영국의 역사학자 E.H.Carr는 역사란 무엇인가란 질문에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답하였다. 역사를 기억함으로써, 우리는 과거의 사실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으며, 우리의 현재는 과거의 많은 땀과 피, 그리고 노력의 결과로써 얻어진 것이다. 다가오는 3월 26일은 우리의 현재를 위해 희생해주신 분들을 기억할 수 있는 하루가 되기를 바라본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